본문 바로가기

역사보존

역사보존과 21세기 도시의 장소, 문화, 정체성 Keeping Place, Culture, and Identity in 21st-Century Urban Context 역사(history), 문화 (culture), 환경 (environment)과 관련된 흥미로운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대 도시에서 오래된 것들이 가지는 의미와 다양한 해석, 재생 및 활용에 대한 이론과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공유할 예정입니다. 누구든 자유롭게 역사보존이라는 주제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삶터 조성에 관한 창의적인 비전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의 주제인 역사보존은 1960년대와 70년대를 거치면서 북미지역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건축물 보존(Architectural Conservation), 문화재 보존 (Conservation of Cultural .. 더보기
역사지구 지정과 젠트리피케이션의 불편한 공생-시카코 필센 지역 재개발과 주민들의 반발 Uneasy Coexistence between Historic Landmarking and Urban Gentrification 2019년 초 대한민국은 한 여성 정치인의 지방 소재 역사지구에 있는 건물들을 매입했다는 소식으로 온 나라가 들끓었습니다. 사건의 요지는 “문화재청을 감시하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이었던 국회의원이 문화재 지정 결정 이전에 가족과 보좌관 등 주변 인물을 동원하여 건물을 매입했다 (SBS 1월 15일 자 뉴스)”는 것이었는데 대다수의 언론에서는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이라는 자극적인 문구를 사용하여 보도했고, 이것이 ‘부동산 투기냐 문화재 보호냐’를 두고 여전히 법정에서 논쟁 중입니다. ‘역사지구 지정’과 ‘부동산 투기’-자칫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이 두 주제는 의외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