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uthenticity

복제와 재현의 시대에 ‘역사’가 소비되는 방식 (Part II)-서구 풍 주택 전시장이 된 상하이 신도시 사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복제와 재현의 시대에 '역사'가 소비되는 방식 (Part I)-중국 산자이(Shanzhai, 山寨) 문화의 진화 더보기
복제와 재현의 시대에 ‘역사’가 소비되는 방식 (Part I)- 중국 산자이(Shanzhai, 山寨) 문화의 진화 China’s Consuming Heritage-From Entertaining Urban Landscape to “Duplitecture” "Design today becomes as easy as Photoshop, even on the scale of a city." -Rem Koolhaas "오늘날 디자인은 포토샵으로 모방할 수 있을 만큼 쉽고, 심지어 도시 규모의 디자인도 마찬가지 입니다." -건축가 램 쿨하스 2016년 고인이 된 세계적인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설계한 베이징의 오피스 건물 디자인이 충칭의 개발업자에 의해 도용되었다는 소식은 2013년 건축계에 적잖은 파장을 낳았습니다. 디자인의 도용이라는 사실보다 더 놀라웠던 것은 그녀의 디자인을 모방한 39층 높이의.. 더보기
시간의 흔적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팔미라(Palmyra) 복원을 위한 경주의 교훈 Learning from Gyeongju Historic Areas: Reconstruction of Archaeological Sites in the City of Palmyra, Syria 관광산업에 의존하는 역사 도시의 고고 유적지(archaeological site)는 거의 예외 없이 ‘유지를 통한 보존’과 ‘재건을 통한 활용’이라는 첨예한 현실적 문제로 지역 주민 간 논쟁의 대상이 됩니다. 유적지의 보존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역사적 진정성(authenticity)과 역사 자산으로서 중요한 가치인 완전성(integrity)의 훼손을 우려합니다. 이에 반해 일부 혹은 전체 유적지의 재건(reconstruction)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역사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관광산업 부흥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