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보존 (Historic Preservation) 썸네일형 리스트형 자연재해와 이재민 삶터의 복구-영화배우 브래드 피트가 뉴올린스로 간 까닭은? Rebuilding Historic Neighborhood during the Post-Katrina Community Recovery – Brad Pitt’s ‘Good-Will' Hunting in New Orleans, Louisiana 2016년과 2017년 연이어 발생한 경주와 포항의 지진은 예측할 수 없는 자연재해로 우리의 삶터가 순식간에사라질 수 있다는 국민적 경각심을 일깨워 준 사건이었습니다. 특히 포항지역에 발생한 피해는 1천797명에 달하는 이재민들이 순식간에 삶터를 잃었고 일부 주민들은 여전히 정부가 마련한 임시거처에서 생활을 이어가고 있지만 복구예산과 관련 법률 입안에 대한 정치적 공방 속에 방치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동아일보 2019년 12월 28일 자) 미국도 매년 발생하는 자.. 더보기 역사보존과 시대정신 (Zeitgeist) : 박정희 흉상과 로버트 리 (Robert E. Lee) 동상 철거 논란 Who Owns the Past: Learning from the Eradication of Dark Memories 이번 글에서는 역사문화자산과 대중의 가치평가를 주제로 한국과 미국에서 최근 발생한 유사한 두 사례를 가지고 시대정신과 역사보존의 상관관계라는 주제로 생각을 나누려고 합니다. 역사는 한 사회가 공유하고 있는 시대정신 (sprit of the time)을 기준으로 검증과 재평가의 과정을 거쳐 존립의 '보편성'과 '정당성'을 인정받습니다. 시대정신이란 18세기 말 독일의 철학자 요한 고프리드 헤더 (Johann Gofried Herder, 1744-1803)가 처음으로 언급한 이후 괴테와 헤겔 등을 거치면서 발전된 개념입니다. 흔히 당대의 지적, 정치적, 사회적인 경향이나 사회가 공유하는 상식.. 더보기 역사 건물 미관 보존과 친환경 에너지 정책의 동상이몽 (同床異夢)-워싱턴 D.C의 태양전지판 설치 논쟁 In the Same Bed But With Different Dreams?-Installation of Solar Panel without Compromising Historic Characters 일반적으로 역사 건물의 보존 (Architectural Conservation)하면 오래되거나 (olde) 낙후된 이미지 (out of date)를 떠올립니다. 다양한 이유 중 하나는 노후화에 따른 역사 건물들이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필요에 대응하는 호환성(compatibility)이 결여되어 있다는 인식 때문입니다. 이런 선입관들이 모두 맞는 말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틀린 이야기도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역사 건물 미관 정책과 친환경 에너지 정책 사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논쟁에 대해 살펴볼까 .. 더보기 역사보존과 21세기 도시의 장소, 문화, 정체성 Keeping Place, Culture, and Identity in 21st-Century Urban Context 역사(history), 문화 (culture), 환경 (environment)과 관련된 흥미로운 사례들을 소개하고 현대 도시에서 오래된 것들이 가지는 의미와 다양한 해석, 재생 및 활용에 대한 이론과 사례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공유할 예정입니다. 누구든 자유롭게 역사보존이라는 주제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삶터 조성에 관한 창의적인 비전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블로그의 주제인 역사보존은 1960년대와 70년대를 거치면서 북미지역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건축물 보존(Architectural Conservation), 문화재 보존 (Conservation of Cultural .. 더보기 역사지구 지정과 젠트리피케이션의 불편한 공생-시카코 필센 지역 재개발과 주민들의 반발 Uneasy Coexistence between Historic Landmarking and Urban Gentrification 2019년 초 대한민국은 한 여성 정치인의 지방 소재 역사지구에 있는 건물들을 매입했다는 소식으로 온 나라가 들끓었습니다. 사건의 요지는 “문화재청을 감시하는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이었던 국회의원이 문화재 지정 결정 이전에 가족과 보좌관 등 주변 인물을 동원하여 건물을 매입했다 (SBS 1월 15일 자 뉴스)”는 것이었는데 대다수의 언론에서는 “목포 부동산 투기 의혹”이라는 자극적인 문구를 사용하여 보도했고, 이것이 ‘부동산 투기냐 문화재 보호냐’를 두고 여전히 법정에서 논쟁 중입니다. ‘역사지구 지정’과 ‘부동산 투기’-자칫 어울리지 않을 것 같은 이 두 주제는 의외로..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