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보존 (Historic Preservation)

애플 스토어(Apple Store)의 디자인 전략과 역사보존의 상승효과 When A Bad Preservation Becomes a Good Stewardship: Renewed, Restored, and Reimagined Historic Carnegie Library by Apple. 미국 캘리포니아 쿠페르티노(Cupertino, CA)에 본사를 두고 있는 애플은 아마존(Amazon),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함께 실리콘 밸리를 대표하는 테크 기업 중의 하나로 우리에게는 아이폰(iPhone), 아이패드(iPad), 맥북(MacBook)을 비롯한 각종 소비가전, 컴퓨터 소프트웨어, 온라인 서비스등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2019년 12월 애플의 시가총액은 한때 1조 1630만 달러 (한화 1402조, 환율 1194.3원 기준)를 기록하면.. 더보기
선택된 일제의 기억-조선총독부 청사와 서대문형무소의 엇갈린 운명 Balancing the Ideological Pendulum in National Heritage: Cultural Politics in the Management of Japanese Colonial Heritage 일본 경제 호황기가 지속되었던 불과 30년 전만 하더라도 한국 사회에서 ‘일본’이라는 단어는 주로 상대적 ‘우월함’의 상징처럼 사용되었습니다. 한국의 기업들이 일본의 소니, 도요타, 파나소닉 같은 대기업들과 경쟁이 되지 않던 시절에 정치인들은 국민들에게,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부모님들은 자녀들에게 “일본XX이 미워도 배울건 배워야지” 라던가, 과거사와 관련해서 “일본 아니면 한국이 이 만큼 발전했겠어?”와 같은 망언(?)을 하던 때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21세기에 접어들면서 한국의 비약.. 더보기
복제와 재현의 시대에 ‘역사’가 소비되는 방식 (Part II)-서구 풍 주택 전시장이 된 상하이 신도시 사업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복제와 재현의 시대에 '역사'가 소비되는 방식 (Part I)-중국 산자이(Shanzhai, 山寨) 문화의 진화 더보기
복제와 재현의 시대에 ‘역사’가 소비되는 방식 (Part I)- 중국 산자이(Shanzhai, 山寨) 문화의 진화 China’s Consuming Heritage-From Entertaining Urban Landscape to “Duplitecture” "Design today becomes as easy as Photoshop, even on the scale of a city." -Rem Koolhaas "오늘날 디자인은 포토샵으로 모방할 수 있을 만큼 쉽고, 심지어 도시 규모의 디자인도 마찬가지 입니다." -건축가 램 쿨하스 2016년 고인이 된 세계적인 여성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가 설계한 베이징의 오피스 건물 디자인이 충칭의 개발업자에 의해 도용되었다는 소식은 2013년 건축계에 적잖은 파장을 낳았습니다. 디자인의 도용이라는 사실보다 더 놀라웠던 것은 그녀의 디자인을 모방한 39층 높이의.. 더보기
'비밀의 도시'를 브랜딩 하다-원자폭탄의 고향 테네시주 오크리지(Part-2) '비밀의 도시'를 브랜딩 하다.-원자폭탄의 고향 테네시주 오크리지(Part-1) What Time is Your City? – The ‘Secret’ Stories of Oak Ridge’s Urban Revitalizing Efforts 도시가 지속 가능한 삶터가 되기 위한 조건과 방식은 지역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지.. historic-preservation.tistory.com What Time is Your City? – The ‘Secrete’ Stories of Oak Ridge’s Urban Revitalizing Efforts 도시 재생의 신호탄 (Renewal of Oak Ridge with an image of Atomic City) “There’s something special.. 더보기
'비밀의 도시'를 브랜딩 하다.-원자폭탄의 고향 테네시주 오크리지(Part-1) What Time is Your City? – The ‘Secret’ Stories of Oak Ridge’s Urban Revitalizing Efforts 도시가 지속 가능한 삶터가 되기 위한 조건과 방식은 지역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하지만, 현실적인 지속성이 담보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에 거주하는 소속 공동체의 튼실한 경제적 토양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전 세계 어느 도시든 지역 경제 활성화 또는 부흥을 외치며 경쟁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전략 중 하나가 도시 브랜딩을 활용한 관광사업입니다. 도시 브랜딩이라는 개념은 일반적인 상품 브랜딩 혹은 마케팅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간략히 정의하자면 미디어(media), 구전(word of mouth), 명성(reputation) 등을 .. 더보기
시간의 흔적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팔미라(Palmyra) 복원을 위한 경주의 교훈 Learning from Gyeongju Historic Areas: Reconstruction of Archaeological Sites in the City of Palmyra, Syria 관광산업에 의존하는 역사 도시의 고고 유적지(archaeological site)는 거의 예외 없이 ‘유지를 통한 보존’과 ‘재건을 통한 활용’이라는 첨예한 현실적 문제로 지역 주민 간 논쟁의 대상이 됩니다. 유적지의 보존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역사적 진정성(authenticity)과 역사 자산으로서 중요한 가치인 완전성(integrity)의 훼손을 우려합니다. 이에 반해 일부 혹은 전체 유적지의 재건(reconstruction)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역사자원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관광산업 부흥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 더보기
신성한 공간(空間)에서 세속적 장소(場所)로-공실 된 교회의 불편한 변신에 대한 몇 가지 제안 Uncomfortable Transformation of Historic Churches from Sacred to Secular: Reuse of Historic Churches Beyond Religious Memories 다양한 문화 자산 중에서 건축은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정체성이 반영된 시대 정신이 공간적으로 재현된 것으로 당대의 가용한 재료(material)와 구축 술(construction technique)을 통해 용도에 따라 독특한 구조와 공간의 형태로 완성됩니다. 흔히 건축을 ‘시대정신을 담는 그릇’이나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로 비유하는 이유도 이런 맥락입니다. 오늘은 미국 사회의 보편적 시대정신을 담고 있는 건축 유산 중에서 오래된 교회(historic church)의 활용에 관한 .. 더보기